요소 | 진단평가 기준 |
---|---|
1. 몰입도 수준 (Commitment) | 안전 활동과 안전 중요성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조직 내 모든 조직원이 공유하는지 정도, 최고경영층의 실행의지,근로자 활동 수준 |
2. 행동 및 태도 수준 (Behavior) | 안전수준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조직 구성원의 행동 정도 |
안전 활동,거동 ,추적 기록 관리 | |
안전수준 향상 기법적용. 방법 향상도 | |
3. 인지수준 (Awareness) | 조직 운영에 의해 조직 내,외에 야기 될 수 있는 위기,위험요인, 리스크 범위를 인식하는 정도 |
안전문제에 대한 높은 수준의 경각심 수준 | |
4. 적응성 수준(Adaptability) | 과거 경험으로부터 안전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 |
안전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행위를 하는 능력 | |
5. 정보 수준(Information) | 조직 내 필요한 사람에게 정보가 잘 제공.소통 되는지 여부 |
위험상황에 처할 수 있는 잘못된 의사소통을 방지하기 위한 올바른 의사 소통 능력 | |
6.공정성 수준 (Justness) | 불안전한 행동에 대한 예방조치,시정조치, 보고, 보상 정도 |
7. 기법적용 수준(Skill) | 위험요인도출, 위험성 분석 평가 및 관리하는 적용 기법 |
잠재적 위험을 발굴하여 제거 / 관리하는 수준 | |
8. 상호활동 수준(Interaction) | 조직구성과 업무의 명확성, 안전 관련 자원 제공 등 |
프로세스간 상호활동의 연계성 수준. 동기부여 및 활력화 수준 |
문의 및 설명
전화 또는 이메일
고객사 방문
평가원 → 고객사
안전문화 평가 협의
평가원 & 고객사
견적서 제출
평가원 → 고객사
계약 체결 (평가)
평가원 & 고객사
평가 계획 수립
한국안전보건 평가원
안전문화 평가
한국안전보건 평가원
평가결과& 개선방안
한국안전보건 평가원
결과물 제출
평가원 → 고객사
안전문화 평가종료
종료